본문 바로가기
연애인 이야기/연예가 소식

국내 뮤지컬 인맥 캐스팅 논란 옥장판 엘리자벳 김소현 옥주현 이지혜

by - 하루살이 - 2022. 6. 23.
728x90
반응형
 
 

사진출처=SNS, EMK, 연합뉴스

국내 뮤지컬 업계를 뒤흔든 '인맥 캐스팅' 논란이 점입가경입니다. 

일명 '옥장판' 사태는 1세대 배우 및 연출가의 호소문 발표로 이어졌는데요.

뮤지컬 '엘리자벳' 캐스팅 불발로 숱한 의혹을 자아냈던 '쏘엘리' 김소현 또한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남경주와 최정원, 박칼린은 22일 '모든 뮤지컬인들께 드리는 호소의 말씀'이라는 제목의 호소문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옥주현이 동료 김호영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한 것을 두고 비통해했는데요. 

호소문에는 "저희는 뮤지컬 1세대 배우들로서 더욱 비탄의 마음을 금치 못하고 있다", "지금의 사태는 정도(正道)가 깨졌기 때문에 생긴 일"이라는 표현이 담겼습니다. 

더불어 "이런 사태에 이르기까지 방관해 온 우리 선배들의 책임을 통감한다"며 "더이상 지켜만 보지 않겠다. 뮤지컬을 행하는 모든 과정 안에서 불공정함과 불이익이 있다면 그것을 직시하고 올바르게 바뀔 수 있도록 같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같은 날 김소현은 해당 호소문을 자신의 SNS에 공유한 뒤 '#동참합니다', '#뮤지컬배우김소현' 해시태그를 첨부했는데요. 

그가 10주년을 앞둔 뮤지컬 '엘리자벳'에 캐스팅되지 못한 것과 관련해 뒷말이 많았던 상황. 김소현의 용기 있는 행보에 응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소현 외에도 다수 뮤지컬 배우들이 동참 의사를 피력하고 있는데요. 차지연, 최유하, 정선아 등이 '#동참합니다' 챌린지에 참여한 상태입니다. 

한편 옥주현은 전날 김호영 및 일부 네티즌을 고소했다고 전했는데요. 

이 사태는 '엘리자벳' 캐스팅에 옥주현과 같은 소속사인 이지혜가 더블 캐스팅되고 김소현이 배제된 데서 촉발됐습니다. 

이후 김호영은 SNS를 통해 "아사리판은 옛말이다. 지금은 옥장판"이라는 글을 올렸는데요. 옥주현을 저격했다는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엘리자벳

1992년 초연한 오스트리아의 황후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의 삶을 그린 뮤지컬. 실베스터 르베이가 작곡, 미하엘 쿤체가 극작을 했으며 이 콤비가 만든 작품들 중 가장 흥행했다. 오스트리아, 독일, 일본 등 다양한 나라에서 상연되었으며 한국에서는 EMK뮤지컬컴퍼니에서 라이센스를 수입해서 상연했다. 2012년 초연, 2013년 재연, 2015년 삼연, 2018년~2019년 사연이 이루어졌고, 2022년 10주년 공연이 올라올 예정이다.

독일어 발음으로는 엘리자베트이나 한국에 들어오면서 엘리자벳으로 바뀌었다. 한국 초연 당시에 상당히 비판을 받았던 부분이나, 지금은 '엘리자벳'으로 거의 굳어진 상태.

뮤지컬 《에비타》와 여러 유사점이 관찰된다.한 사람의 일대기를 시대상황과 결부시켜 지켜보는 전개 및 작중 시대와 작품 밖을 넘나드는 해설자 캐릭터의 유무 등등에서 《에비타》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세기말의 오스트리아-헝가리를 배경으로 하는 음산한 종말적 분위기 및 관념이 의인화된 '죽음'이라는 캐릭터를 통하여 시대 상황 및 주인공의 삶에 상징성이 부여되는 점 등은 이 작품이 《에비타》의 아류를 벗어나 확고한 자기 스타일을 갖게 하는 요소이다.

얼핏 보면 아름다웠던 황후의 죽음의 러브스토리로 볼 수 있지만 사실은 엘리자벳 인물의 내면과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 오스트리아 황가의 몰락과 무너져가는 세계에서 무력하게 있는 민중들, 거기서 도래하는 새 시대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라이센스판에서는 '죽음마저 사랑에 빠지게 한 아름다운 황후'라는 광고 문구로 의미를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황후 엘리자벳(Elisabeth)

애칭은 시씨(Sissi). 오스트리아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황후로 기억되고 있는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가 모티프가 되었다. 자유분방한 소녀였으나 황후가 되면서 새장 같은 갑갑한 궁전 안의 삶을 견디기 힘들어 한다.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정작 자신은 쓸쓸한 삶을 살며 늘 죽음의 유혹을 받는다. 이렇게 보면 자유를 갈망한 비운의 황후라 볼 수 있는데, 극작가를 대변하는 루케니의 발언으로는 아들을 정치적 카드로 쓰는 이기주의자에 자기 미모만 관리하느라 백성은 돌보지 않고 역마살 낀 황후라고 표현한다. 이에 대한 건 2막의 첫 시작곡인 kitsch(키치)에서 알 수 있다. 1막의 마지막에서 입고 나오는 드레스는 그녀의 가장 유명한 초상화에서 따왔다 오페라의 유령(뮤지컬) 영화판에서 나오는 크리스틴의 드레스도 이 초상화가 모티프가 되었다.

죽음(Tod)

자유롭고 활달했던 엘리자벳의 어린 시절, 나무에 올랐다 떨어진 그녀를 처음 만나고는 운명적으로 사랑에 빠져버린 이후부터 그녀의 평생동안 주위를 맴돌며[7] 그녀가 원하는 자유는 자신만이 줄 수 있다며 엘리자벳을 유혹하는 '죽음' 그 자체. 비슷한 것으로는 해외판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로미오가 죽을 때 키스하는 등, 관념의 의인화는 해외에서 꽤 많이 볼 수 있다.

주연이지만 등장 수는 별로 없다. 솔로곡 하나에 듀엣 두 세곡 나머지는 중간에 난입해 서너 소절 부르고 퇴장이여서 짧은 등장만큼 배우의 카리스마와 무대 장악력이 필요하다. 원래는 죽음의 양성성을 표현하기 위해서였지만 마지막에 여장하여 루돌프와도 애정표현을 한다.한국판에서는 여장하지 않는다. 독일판에서도 여장하지 않는 극이 있다.

루이지 루케니(Louigi Lucheni)

엘리자벳을 암살한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 그는 자신이 그녀를 죽인 것이 아니라 엘리자벳이 죽음을 사랑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100년간 이어지는 재판에 항변하며, 그 시대의 죽은 자들을 증인으로 불러들인다. 중간중간 이탈리아어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극 전체를 안내하고 해설하는 인물. 등장 수가 주인공인 '죽음' 보다 많고 옷도 더 많이 갈아입는다. 에비타의 '체'와 비슷한 역할이다. 인물과 시대상의 부정적인 면을 고발하는 등 극의 객관성을 유지해준다.

황제 프란츠 요제프(Franz Joseph)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 늘 냉정하고 냉철하며 엄격하도록 교육받고, 또 그렇게 살아온 오스트리아의 황제. 엘리자벳의 언니인 헬레네와 맞선을 보지만 어린 시절 첫눈에 반한 엘리자벳을 황후로 선택하고, 어머니를 비롯한 주위 세력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엘리자벳과의 결혼을 택했다. 늘 한결 같은 마음으로 엘리자벳만을 사랑하지만, 정작 그녀가 원하는 자유만은 줄 수가 없었다. 현실의 인물은 황제의 의무를 다하고 그녀를 진심으로 사랑했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아들인 루돌프가 저지른 잘못이 본작에서는 요제프의 잘못으로 나오는 등 지고지순한 면모가 덜해졌다.

황태자 루돌프(Rudolf)

오스트리아 제국 황태자 루돌프 프란츠 카를 요제프. 엘리자벳의 아들이지만 할머니인 조피 대공비로 인해 어머니와 가깝게 지내지 못한다. 아버지와의 정치적 대립과 어머니의 무관심 속에서 방황 끝에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비운의 황태자.

대공비 조피(Sophie)

오스트리아 대공비이자 프란츠 요제프의 어머니인 조피 프레데리케 폰 바이에른. 황실에 보탬이 되기 위해 황후의 자리를 포기하고 자신의 아들을 황제로 즉위시킬 만큼 매사에 엄격하고 황실 안에서의 의무를 우선시한다. 황실을 지키고자 하는 그녀는 자유주의적인 엘리자벳과 계속해서 갈등을 겪는다. 참고로 실제 엘리자베트의 이모이기도 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